티스토리 뷰
목차
국가장학금의 경우 소득이 얼마가 측정이 되느냐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지는데요. 소득분위 기준은 과연 얼마인지 그에 따른 지원금액은 얼마인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부족했을 경우 등록금 및 생활비 마련 계획을 미리 세우시기 바랍니다.
국가장학금 소득인정액
소득인정액은 국가장학금 지원 자격을 판별하기 위해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금액입니다. 이를 통해 각 가구의 경제적 여건에 따라 학자금 지원 구간이 결정됩니다. 국가장학금을 신청하고자 한다면, 소득인정액 계산은 필수적입니다.
소득인정액 산정 공식
소득인정액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통해 계산됩니다:
[소득인정액(월)] = ① 소득 평가액 + ② 재산의 소득 환산액 - ③ 형제·자매 수에 따른 공제액
① 소득 평가액
가구원의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연금소득 등 다양한 소득을 기준으로 하며, 각 소득 유형에 따라 정액 공제 및 정률 공제가 적용됩니다.
-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학생 본인은 최대 130만 원까지 정액 공제
- 일용근로소득: 50% 정률 공제
② 재산의 소득 환산액
재산의 소득 환산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따릅니다: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 월 소득 환산율
- 일반재산: 4.17%/3
- 금융재산: 6.26%/3
- 자동차: 4.17%/3
기본재산액은 6,900만 원으로 설정되며, 이는 최소 생활비를 보장하기 위해 공제됩니다.
③ 형제·자매 수에 따른 공제
가구 내 형제·자매 수가 많을 경우 추가 공제가 적용됩니다. 공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제·자매 수 - 2) × 40만 원
단, 미혼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에 한해 적용됩니다.
소득인정액 계산 예시
아래는 소득인정액 계산의 실제 사례이니 만큼 본인의 금액을 대비해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례 1
- 소득 평가액: 5,260,000원
- 재산의 소득 환산액: 5,056,800원
- 총 소득인정액: 10,316,800원
사례 2
- 소득 평가액: 2,500,000원
- 재산의 소득 환산액: 139,000원
- 총 소득인정액: 2,639,000원
소득 및 재산의 유형
소득 유형
- 근로소득: 상시근로, 일용근로 등
- 사업소득: 농업, 어업, 기타 사업소득 등
- 재산소득: 임대소득, 연금소득 등
- 기타소득: 공적이전소득 등
재산 유형
- 일반재산: 토지, 건물, 전월세보증금 등
- 금융재산: 예금, 적금, 주식, 보험 등
- 자동차: 승용차, 승합차, 특수자동차 등
국가장학금 Ⅰ유형 ( 학생직접지원형)
학자금 지원구간 | 학기별 최대지원금액 | 연간 최대 지원 금액 |
기초 / 차상위 | 전액 | 전액 |
1구간 | 285만원 | 570만원 |
2구간 | 285만원 | 570만원 |
3구간 | 285만원 | 570만원 |
4구간 | 210만원 | 420만원 |
5구간 | 210만원 | 420만원 |
6구간 | 210만원 | 420만원 |
7구간 | 175만원 | 350만원 |
8구간 | 175만원 | 350만원 |
9구간 | 50만원 | 100만원 |
📌 등록금 전액의 경우 : 등록금 범위 내 필수경비인 입학금과 수업료를 지원합니다.
📌 2025년도 정부 예산안이 변경될 경우 그에 따라 변경 가능합니다.
국가장학금 소득 분위 지원금액
국가장학금의 소득 분위 기준은 매년 물가상승률과 정부예산안 기준으로 금액이 변동 됩니다.
소득분위 지원구간 경계 금액
2025년 학자금 지원구간 경계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4인 가족 기준) : 6,097,773원 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을 100으로 봤을 때 그 비율에 맞게 산정이 되니 아래에서 금액을 확인해 보세요.
구분 | 학자금 지원구간 경계 금액 | 기준 중위소득 비율 |
1구간 | 1,829,332원 이하 | 30% |
2구간 | 3,048,887원 이하 | 50% |
3구간 | 4,268,441원 이하 | 70% |
4구간 | 5,487,996원 이하 | 90% |
5구간 | 6,097,773원 이하 | 100% |
6구간 | 7,927,105원 이하 | 130% |
7구간 | 9,146,660원 이하 | 150% |
8구간 | 12,195,546원 이하 | 200% |
9구간 | 18,293,319원 이하 | 300% |
10구간 | 18,239,319원 초과 | - |
소득인정액 계산 시 주의사항
소득인정액 계산 과정에서 반드시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는 기본재산 공제 및 부채 차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부채는 일반재산에서 먼저 차감한 후, 잔여 부채를 금융재산에서 차감합니다.
- 기본재산 공제 및 부채 차감 후 음수(-)일 경우 해당 재산 가치는 0원으로 처리됩니다.
결론
국가장학금 지원을 희망하는 학생과 학부모라면 소득인정액 계산 과정을 철저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가이드에서 제시된 내용을 활용하여 자신의 소득인정액을 정확히 산출하고, 지원 가능성을 확인해보세요. 추가 문의는 한국장학재단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장학금으로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세요!